반응형 기전력2 [기초 물리] 6-1 전기에너지 생성 및 수송 (와전류, 변압기) 기전력(Electromotive force)은 이탈리아의 과학자 볼타에 의해 (+) 전화와 (-) 전하를 분리시켜 전류가 흐르게 하는 힘이란 정의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과학자들은 이것이 힘이 아니라 전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죠. 기전력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역학적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기,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화학 에너지를 이용한 화학 전지, 온도 차를 이용한 온도 차 발전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소형 발전기는 원통의 가장자리에 원형 자석이 들어 있고, 그 안에 코일이 감긴 철심이 들어 있습니다. 코일이 감긴 철심의 한쪽에는 코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가 달려 있고, 다른.. 2020. 10. 22. DC모터의 수학적 분석 모터(Motro)란? 우리 일상생활에 많이 접하는 모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모터의 의미는 라틴어의 "moto"(움직인다)에서 왔다고 하네요. 에너지를 공급받아 어떤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모터라고 부를 수 있겠는데요. 여기서 공급받는 에너지 형태는 전기, 열, 압력, 탄성 등 매우 다양합니다. 국내에서 모터라고 하면 전기 모터, 즉 전기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기를 가리키지만 영어권에서는 전기모터부터 로켓이나 내연기관도 모터라고 부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넓은 의미의 원동기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영어로 된 글을 읽다가 모터라는 단어가 나왔다고 해서 단순히 전기모터?라고 생각하면 안되겠죠?? 전기모터는 오래전부터 가정이나 산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동력.. 2020. 9.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