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장교2

#3. 군복무 (병사 VS 장교) part 2 (feat. 후보생 삶) 군 복무를 좀 더 계획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나라에 태어난 이상, 징병제가 없어지지 않는 이상 제 아들이 군대를 가야 할 시기가 온다면 저는 병사가 아닌 장교로 가는 것을 적극 푸시할 것 같습니다. 두 방법 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아무래도 장교로 복무를 하는 것이 앞날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장교의 장점은 part 1에서 설명을 했으니 넘어가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는 제가 선택한 학군장교 후보생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난 이것 때문에 학군장교 후보생이 되었다. 고등학생 때 사관학교 시험을 준비하면서 군대에 대해 잠깐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때는 군대가 너무 부조리하고 인생을 낭비하는 시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내가 왜 군대를 가야 돼? 남자라면 모두 가니깐? 알아보.. 2020. 10. 7.
#2. 군복무 (병사 VS 장교) part 1 대한민국의 청년으로 신체적인 결함이 없으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군복무를 해야한다는 것은 다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남자에게 20대는 정말 인생에 있어서 가장 활동적이고 가장 가능성이 많은 아름다운 시절입니다. 이 기간에 약 2년정도를 나라를 위해 봉사를 하는 것은 정말 숭고한 행위입니다. 하지만 분단 국가로 인해 강제적으로 징병을 했던 행위가 지금까지 이어지는 것을 보면 한편으로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선택이 아닌 의무를 강요하는 군복무의 형태를 보면서 왜 의무만 알려주고 권한에 대해서 알려주지 않는 것일까 반드시 군복무를 해야한다면 여러 군복무형태를 의무적으로 청년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합당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남성들이 고교시절에 입시를 위한 공부를 하며 고등학교를 마칩니다. 그리고 대학에 가.. 2020.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