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8 [기초물리] 3-2 자기장 저번 포스팅에서 전기장에 대해 공부를 해보았습니다. 모든 물질은 원자와 전자로 이루어져 있고 자유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전하 혹은 (-)전하를 띤 물질로 변하여 주변에 전기장이 발생한다고 했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전기장과 짝을 이루는 자기장입니다. 자성을 지닌 물체는 금속과 같은 물체에 자기력을 작용하는데, 이때 자기력이 미치는 영역을 자기장이라고 합니다. 그럼 자성부터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구상에는 다양한 물질이 있습니다. 그 중에 특이한 돌이 있는데 이 돌은 철, 니켈, 크롬과 같은 금속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 성질을 자성이라고 하며, 자성을 띠고 있는 물체를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자석(magnet)이라고 합니다. 꼭 자석이 아니더라도 자성을 띠는 물질을 자성.. 2020. 10. 14. python 독학 기본편 #5 조건문과 반복문 (If & For) 오늘 해볼 명령어는 조건문과 반복문입니다. 이 두 명령어는 상당히 유용해서 많이 쓰이는 명령어이니깐 잘 따라오세요. 조건문(if) 먼저 시작할게요. 날씨 예보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비가 오는 날씨에는 우산을 챙기고,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마스크를 챙기는 것을 해볼게요. 우선 변수를 하나 선언해야 됩니다. weather="비" 그리고 if를 사용해서 비와 같다면 출력을 하고 같지 않으면 출력하지 않는 코드를 작성해줍니다. if weather == "비": print("우산을 챙기세요") print앞에 꼭 tab키로 공간을 주어야 합니다. 출력을 하면 "우산을 챙기세요"가 출력이 됩니다. 만약에 변수 weather에 맑음이라고 쓰고 실행을 하면 에러가 발생할 거예요. weather = "맑음": if w.. 2020. 10. 13. [기초물리] 3-1 전기장 건조한 날 에보나이트 막대나 유리 막대 등을 털가죽이나 명주 헝겊으로 문지르면 에보나이트 막대와 유리 막대, 털가죽과 명주 헝겊은 다른 물체를 끌어당기는 성질을 띠게 됩니다. 이와 같이 물체를 마찰시킬 때 생기는 전기를 마찰 전기라고 하며, 물체가 전기를 띠게 되는 현상을 대전, 대전된 물체를 대전체라고 합니다. 대전체가 띠고 있는 전기를 전하(electric charge)라고 하며, 그 양을 전하량 또는 전기량이고 합니다. 이것이 모든 전기적 현상의 근원이며 전기장이 발생되는 원인입니다. 이 대전체는 서로를 밀어내거나 끌어당깁니다. 이 사실로부터 물체를 마찰시킬 때 생기는 마찰 전기에는 두 종류가 있음을 알고 미국의 과학자 프랭클린이 양전하와 음전하로 이름 붙인 두 종류의 전하가 존재함을 입증했습니다... 2020. 10. 13. [기초물리] 2-3 일반 상대성 이론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는 중력은 단순한 힘의 한 종류였습니다. 그러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중력이 시간과 공간을 왜곡한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서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지 또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간략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물체가 운동을 한다는 것은 물체의 위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이므로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물체의 위치 변화를 알아야 합니다. 물체의 위치는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으로 표현하므로 좌표계가 필요합니다. 좌표계는 관찰자가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준이므로 관찰자가 정지되어 있는 좌표계(관성 좌표계)와 관찰자가 움직이는 가속 좌표계로 나뉩니다. 관성 좌표계는 정지 또는 등속 운동하는 관찰자를 기준으로 정한 좌표계입니다. 뉴턴의 운동 제1법칙이 성립하는 좌표.. 2020. 10. 13. python 독학 기본편 #4 Type (feat.트와이스 도와줘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python에서 인식하는 유형(type)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각 type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잘 구분하면 나중에 해당 type의 특징을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 먼저 lis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는 순서를 가지고 있는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예제를 들어서 알아보도록 하죠. 트와이스 멤버가 순서대로 줄을 서는 것을 생각해 보죠. 나연, 정연, 모모 세 명이 줄을 서고 있습니다. 그럼 대괄호([ ])를 이용해서 나열을 하면 됩니다. twice= ["나연","정연","모모"] 이렇게요. 잠깐의 복습으로 이때 모모가 몇 번로 줄을 서고 있는 알기 위해서는 앞 포스팅에서 했던 index를 활용하면 됩니다. print(twice.index("모모")) 이런 식으로 하면.. 2020. 10. 11. python 독학 기본편 #3 문자 이번에 공부할 내용은 python에 문자를 넣는 방법입니다. 앞에서 설명을 했었어요 큰 따옴표(")와 작은따옴표(')를 이용해서 문자를 넣을 수가 있습니다. 이것 말고도 여러 문장을 한 번에 넣을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렇게 큰 따옴표를 세 번 연속해서 입력("x3)을 하고 넣고 싶은 문장을 길게 적어 줍니다. 엔터를 해도 괜찮아요 그렇고 마지막에 다시 큰 따옴표 세 번(""")을 입력해서 닫아주면 됩니다. 아래 예를 해볼게요. sentence = '올해는 코로나 때문에 힘들어요' print(sentence) sentence2 ="올해는 긴 장마도 있었어요" print(sentence2) sentence3= """ 올해는 코로나 때문에 힘들었고, 긴 장마도 있었어요 """ print(sentence.. 2020. 10. 11. python 독학 기본편 #2 연산 (feat. 나만의 로또 번호 만들기) 이번에는 python으로 연산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에서 잠깐 연산에 대해서 언급을 했어요 python에서는 기초 사칙연산과 동일한 규칙으로 연산이 됩니다. 오늘은 그것보다 조금 더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print(3+4) # 7 >print(8-4) # 4 >print(3*8) # 24 >print(8/2) #4 위와 같이 기초 사칙연산 말고 지수 계산과 몫, 나머지도 계산을 할 수 있어요 >print(3**3) #27 >print(5%3) # 나머지 2 >print(5//3) # 몫 1 또 python에서는 참과 거짓을 구별할 수 있다고 했는데요 이를 booln이라고 말합니다. 대소 관계 말고 ==는 같다는 의미와!=는 같지 않다를 이용해서 참/거짓이 나옵니다. 또 중간에 연산을 넣어도 계산된.. 2020. 10. 9. Python 독학 기본편 #1 print&변수 Python이라는 프로그램을 독학하려고 합니다. 동영상이나 인터넷 강의 및 서적을 통해 혼자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Python을 배우고 싶어 하는 비전공자들에게 설명을 한다는 생각으로 작성을 해볼 테니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 바랍니다. Python은 컴퓨터에게 명령을 주기 위한 언어체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Python에 숫자 연산을 출력하는 것부터 가볍게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화면을 보고 잘 따라오세요. 시작 전에 Python을 하기 위한 여러 환경 설정을 포스트 했는데 보지 못했다면 아래를 보고 설치 및 설정을 하고 오시기 바랍니다. Python 독학 기본편 #0 환경설정 먼저 Print라는 명령어를 입력할 거예요 Print은 언어 그대로 출력을 하라는 것입니다. .. 2020. 10. 9. [기초물리]2-2 특수 상대성 이론 특수 상대성 이론을 간략히 말하면 속력에 따라 시간과 공간이 왜곡되는 현상을 설명한 이론입니다. 느린 속력에서는 시간과 공간이 일반 역학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나 매우 바른 속력에서는 특수 상대성 이론이 적용되어야만 정확하게 시간과 공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가장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빛입니다. 빛은 좁은 의미에서 사람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관선 즉 400 ~ 700 nm 정도의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파를 뜻합니다. 넓은 의미에서의 빛은 모든 종류의 전자기파를 지칭합니다. 18세기가지는 빛이 파동인지 입자인지 논쟁이 끊이 않았지만 현재에는 빛은 파동성과 입자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밝혀져 이를 빛의 이중성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많은 학자들이 빛의 속도를 측정.. 2020. 10. 8.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