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8

기어강도계산 기어 회전운동을 하는 메커니즘에는 기어가 많이 사용된다. 기어비를 이용하여 토크와 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어비를 단순히 기어의 크기만을 고려하여 설계를 하면 구조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기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기어비와 축간 거리를 알아야한다. 간단히 각 명칭에 대해 언급하고 기본이 되는 식을 정리했다. 피치원 지름은 기어가 맞무려서 서로 힘이 작용하는 거리가 된다. 모듈과 잇수의 곱으로 피치원의 지름을 구할 수 있다. 이끝원 지름은 기어의 가장 끝부분의 원의 지름을 말하고 이 뿌리원은 기어 이의 가장 골부분의 원의 지름을 의미한다. 계산식 (모듈 : M, 잇수: Z) 두께 이끝원 지름 외접기어 D=PCD+2M 피치원 이두께에서 M/2 내접기어 D=PCD-2M 이 뿌.. 2020. 9. 24.
DC모터의 수학적 분석 모터(Motro)란? 우리 일상생활에 많이 접하는 모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모터의 의미는 라틴어의 "moto"(움직인다)에서 왔다고 하네요. 에너지를 공급받아 어떤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모터라고 부를 수 있겠는데요. 여기서 공급받는 에너지 형태는 전기, 열, 압력, 탄성 등 매우 다양합니다. 국내에서 모터라고 하면 전기 모터, 즉 전기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기를 가리키지만 영어권에서는 전기모터부터 로켓이나 내연기관도 모터라고 부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넓은 의미의 원동기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영어로 된 글을 읽다가 모터라는 단어가 나왔다고 해서 단순히 전기모터?라고 생각하면 안되겠죠?? 전기모터는 오래전부터 가정이나 산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동력.. 2020. 9. 24.
환영합니다! 이곳은 제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공유하기 위한 공간입니다.이유있는 피드백은 환영합니다. 2020.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