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8 [기초물리]2-1 만유인력의 발견 만유인력의 발견은 역학의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습니다. 역학의 원리를 과학적으로 풀이하고 현상을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습니다. 천체 물리학에서도 천체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만유인력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세 시대에 코페르니쿠스가 지구와 행성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돈다는 지동설을 주장한 이후 천동설과 논쟁이 많았습니다. 케플러는 수십 년 동안 관측한 자료를 분석하여 행성의 운동에 대해 세 가지 규칙성을 발견하였습니다. 행성의 운동궤도가 기하학적으로 완벽한 원이 아니라 타원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내세웠습니다. 이 케플러의 발견은 이후 뉴턴이 만유인력 법칙을 정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럼 만유인력보다 케플러의 세 가지 법칙에 대해 알아봅시다. 타원 궤도 법칙(케플러 제1법.. 2020. 10. 8. Python 독학 기본편 #0 -환경설정 python을 독학으로 깨우치려고 합니다. 배웠던 내용을 잘 정리해서 공유하도록 할게요 첫 시간은 python설치와 코딩을 하기 위한 설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python을 설치해야겠죠? https://www.python.org/ Welcome to Python.org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위 사이트에 가셔서 download 메뉴를 클릭해 python을 설치합니다. 기본 설정으로 next를 누르고 설치하셔도 돼요 python을 설치했다면 이번엔 visualstudio code를 설치해줍니다. 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 2020. 10. 7. [기초물리]1-3 일과 역학적 에너지 일에 대한 물리학적인 개념을 학습하고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일과 과학에서 사용하는 일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과학적 의미의 일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일의 의미는 다릅니다. 과학에서는 질량이 있는 물체에 힘을 가하여 힘의 방향으로 물체가 이동하였을 때 일을 하였다고 말합니다. 물체에 일정한 힘 F가 작용하는 동안 물체가 힘의 방향으로 거리 s만큼 이동하였다면 이때 힘 F가 한 일 W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의 단위는 J(Joule)이 사용됩니다. 1J은 1N의 힘이 작용하는 동안 물체가 힘의 방향으로 1m 이동하였을 때 힘이 한 일의 양입니다. 만약에 물체가 힘의 방향과 이동 방향이 다르면 어떻게 되는 걸까요? 힘의 방향과 변위의 방향이 각 를 이룰 때 물체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힘 는 일을 .. 2020. 10. 7. [기초물리]1-2 운동 법칙과 운동량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힘에 대해 알아보고, 힘에 대한 물리학적인 의미를 통해 뉴턴의 3가지 운동 법칙과 여러 가지 힘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또 충격량과 운동량의 관계를 이해하고 실생활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보도록 봅시다. 힘이란 무엇을까요? 물리학에서 힘에 대한 정의는 물체의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물체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힘은 3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힘의 크기, 힘의 방향, 힘의 작용점을 힘의 3요소라고 일컫습니다. 힘의 작용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려면 이 3요소를 파악해야 합니다. 힘의 단위는 흔히 N(뉴턴)을 많이 쓰입니다. 지구 표면에서 1kg인 추의 무게를 힘의 단위로 하여 1kgf(kilogram force)라고도 하는데 이때 1kgf=9.8N이 됩니다. 힘.. 2020. 10. 7. #3. 군복무 (병사 VS 장교) part 2 (feat. 후보생 삶) 군 복무를 좀 더 계획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나라에 태어난 이상, 징병제가 없어지지 않는 이상 제 아들이 군대를 가야 할 시기가 온다면 저는 병사가 아닌 장교로 가는 것을 적극 푸시할 것 같습니다. 두 방법 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아무래도 장교로 복무를 하는 것이 앞날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장교의 장점은 part 1에서 설명을 했으니 넘어가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는 제가 선택한 학군장교 후보생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난 이것 때문에 학군장교 후보생이 되었다. 고등학생 때 사관학교 시험을 준비하면서 군대에 대해 잠깐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때는 군대가 너무 부조리하고 인생을 낭비하는 시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내가 왜 군대를 가야 돼? 남자라면 모두 가니깐? 알아보.. 2020. 10. 7. [기초물리]1-1시공간과 운동 물리학의 기본 단위는 시간과 질량, 길이가 있습니다. 시간: 시간의 정의는 균일하게 진행하고 있는 시간적 흐름의 어느 한 시점을 시각이라하고 두 시각 사이의 길이를 시간이라고 합니다. 길이: 길이의 정의는 공간에 있는 두 점이나 물체의 한 끝에서 다른 한 끝까지의 간격을 거리라하고 어떤 거리의 크기를 길이라고 합니다. 이동거리와 변위: 물체가 움직인 거리를 이동거리라고 할 수 있지만 물체가 운동을 할 때 도중의 운동 경로를 생각하지 않고 출발점에서 도착점을 연결한 직선 거리와 그 직선 방향을 변위라고 합니다. 속도: 속도라는 개념은 시간과 거리의 정의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1초)동안의 변위를 속도라고 합니다. 속도의 단위는 m/s를 사용하고 방향은 출발점에서 최종 도착점을 향하는 직선 방향이 됩니다. 속.. 2020. 10. 6. #2. 군복무 (병사 VS 장교) part 1 대한민국의 청년으로 신체적인 결함이 없으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군복무를 해야한다는 것은 다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남자에게 20대는 정말 인생에 있어서 가장 활동적이고 가장 가능성이 많은 아름다운 시절입니다. 이 기간에 약 2년정도를 나라를 위해 봉사를 하는 것은 정말 숭고한 행위입니다. 하지만 분단 국가로 인해 강제적으로 징병을 했던 행위가 지금까지 이어지는 것을 보면 한편으로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선택이 아닌 의무를 강요하는 군복무의 형태를 보면서 왜 의무만 알려주고 권한에 대해서 알려주지 않는 것일까 반드시 군복무를 해야한다면 여러 군복무형태를 의무적으로 청년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합당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남성들이 고교시절에 입시를 위한 공부를 하며 고등학교를 마칩니다. 그리고 대학에 가.. 2020. 9. 29. #1. 인생의 첫 갈림길 (공대 VS 사범대) 우리는 살면서 많은 선택을 하게 됩니다. '오늘은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고 나갈까?'와 같은 일상의 소소한 선택의 기로에서 '나는 어떤 직업을 선택할까? 어느 대학, 어느 직장에 들어갈까? 솔로로 지낼까 결혼을 할까?' 등 일생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대한 선택의 기로까지 많은 결정을 하게 됩니다. 저 또한 지금까지 살면서 많은 선택을 거쳐 지금의 자리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많은 선택의 과정에서 후회되는 선택을 한 것도 있고 잘한 선택을 한 것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학창시절 제 인생에 처음으로 중대한 결정을 한 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 글은 현재 중.고등학생이나 늦으면 대학생들에게 좋은 자극제가 되었으면 합니다.첫 인생 설계저는 지방에서 남들과 별반 다를게 없는 평.. 2020. 9. 28. BLDC모터 수학적 분석 비교적 단순한 DC모터를 통해 모터의 구동원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모터는 BLDC모터 입니다. DC모터는 자석이 고정자이고 코일이 감긴 철심이 회전자이었습니다. 하지만 코일에 흘려보내는 전류의 방향을 바꿔 주어야하기 때문에 Brush가 필요했지만 Brush의 내구성이 좋지 않아 DC모터는 오래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과 낮은 효율(Spark)과 소음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모터가 BLDC(Brush Less DC)모터입니다. BLDC모터 내부구조 그림을 보면 BLDC도 자석과 코일을 감은 철심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BLDC는 자석이 회전자가되고 코일이 감긴 철심이 고정자가 됩니다. 코일이 회전을 하지 않으니 제어기라는 것을 통해 전류의 방향을 통제할 수 있어 Brush가.. 2020. 9. 25.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