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절 삼각함수의 도함수
사인함수의 덧셈법칙에서
이므로
이 된다. 따라서
임을 알 수 있다.
이므로 합성함수의 미분법으로부터
가 됨을 알 수 있다.
다음 삼각함수
에 대한 미분공식도 몫의 미분법으로 구할 수 있다.

3절 역삼각함수와 도함수
사인함수 y=sinx는 주기함수이므로 일대일 대응이 아니다. 따라서 실수 전체집합에서 사인함수의 역함수를 정의할 수 없다. 그러나 정의역을
이렇게 정의된 역함수를 역사인함수(inverse sine function)라고 부르고
로 나타낸다. 역사인함수의 정의역은 [-1,1]이고 치역은

코사인함수
로 나타낸다. 역코사인함수의 정의역은 [-1,1]이고 치역은

탄젠트함수는 정의역을
로 나타낸다. 역탄젠트함수의 정의역은


역삼각함수의 미분
사인함수
이므로 역함수 정리에 의하여 역사인함수
에 대하여 적용하면
이다.
이므로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을 얻는다.
이고
이므로
이다.

'생활공학 > 대학기초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 지수,로그함수의 도함수 (0) | 2020.11.25 |
---|---|
4-4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0) | 2020.11.24 |
4-1 삼각함수 (1) | 2020.11.24 |
3-5 함수의 그래프 (0) | 2020.11.24 |
3-4 평균값 정리와 극값 (0) | 2020.11.23 |
댓글